C++에서 (void) 0 은 옳바른 문법인가? 아니다. static_cast0 이 옳바르다. 퍼옴: http://binyjini.tistory.com/entry/staticcast-constcast-dynamiccast-reinterpretcast-C-casts C++에서 지원하는 타입 캐스팅은 크게 4가지로 아래와 같이 분류되는데, 각 캐스팅마다 특징이 조금씩(응?) 다 다르다. 의외로 오랫동안 프로그래밍을 해 온 사람도 그 차이에 대해 명확하게 설명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고 상황에 따라 적당히 경험적으로 시행착오를 통해 쓰는 경우가 있는데 그래서는 안될 것 같아 정리를 해 보았으니 이에 대해 한번 살펴보기로 하자. static_cast static_cast is the first cast you s..
우리나라에서 공개소프트 개발 대회를 한단다. 벌써 4년 째란다. http://project.oss.kr/ 나도 참가하고 싶어 역대 수상작들을 보고 싶었서 찾아보나, 볼 수 없다. -.-; http://project.oss.kr/bbs/board.php?bo_table=history3 http://project.oss.kr/bbs/board.php?bo_table=history3&wr_id=26 뭐니... 구글로 찾아봤다. 개발팀 페이지가 나온다. https://sites.google.com/a/softwareinlife.com/vision-software-in-life 그러나 완성된 소스나 프로그램은 어디에도 없다. 중간 산출물하고 잡지에 올린 기사 샘플 밖에 없다. 오픈 소스면 관리 안해도 되나? 굳이..
티스토리에 플러그인이 있을 것이라 생각했지만, 없었다. 그래서 찾은게 여기 이다. 이 방식으로 3.x 에서도 잘 된다. 3.x 는 소스 안에서 드래그해서 복사하면 행번호 없이 소스만 복사 되어 좋다. 설치를 위해서는 일단 문법 강조기를 다운로드하고 압축을 풀자. http://alexgorbatchev.com/SyntaxHighlighter/download 그리고, 티스토리 블로그 관리자 화면에서 스킨 - html/css 편집 - 파일 업로드를 선택한다. 압축 푼 파일에서 scripts, styles 디렉터리의 모든 파일을 넣도록 하자. 원한다면 필요한 파일만 넣어도 되겠다. 그리고 HTML/CSS 편집에서 skin.html 에서 title 태그 아래다가... 다음을 넣자. 모든 스크립트를 넣을 필요는 없..
주위에서 트위터, 트윗, 팔로어 하도 이런 말을 남발해서 나도 한번 가입해봤다. 사용법은 베타 뉴스에서 잘 나와 있다. http://www.betanews.net/article/494312 쓸수록 굳이 외국껄 난리 난리 쳐가며 써야 할 필요가 있나 하는 생각이다. 나야 프로그램해야 하니 어쩔 수 없이 또 쓰지만서두... 미투데이도 시작한지 꽤 되었는데... 왜 트위터가지고 난리들인지... 뭐 서비스야 장단점이 있지만, 일반 사용자가 쓰기에는 워낙 고만 고만하지 않은가... 마케팅 전략인가... 사이월드 버리고 페이스북 쓰고 티스토리 버리고 워드 프레스 쓰고 한메일 버리고 핫 메일 써야 하나 서비스 시작을 빨리 해거나 고만 고만해도 퍼지는 속도는 국내보다 외국이 한참 빠르니... 확실히 외국의 인프라가 좋..
윈도우에서 GUID 같은 모바일 장치에서도 고유값을 구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무엇으로 할까? 스마트 폰에서는 전화번호, 현재 위치 등도 고유한 값이긴하지만, IMEI 와 IMSI 값이 일반적인 고유치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일단, IMEI 장비 고유값에 대해서 알아보자. 용어설명 MEID(Mobile Equipment IDentifier) - IMEI의 헥사값(14자), CDMA의 ESN(Electronic Serial Number, 8자)를 대신함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 - GSM/UMTS 에서 모바일 유저의 고유값(15자) IMEI(International Mobile Equipment Identity) - GSM/WCDMA 및 위성폰에서의..
http://opnote.tistory.com/33 여기에서 발췌함. 배울 것이 있어 보인다. 한번 읽어봐야겠다. HARD CODE 에서 재미있었거나 곱씹어 봐야 할 내용을 정리해본다면 기본적으로 일정 예측에 리히터 척도(Richter scale)를 사용. 예측이 조금 빗나가는 것은 신경 쓰지 않는다. 대신 중간목표 점검일로 긴장감을 심어주고 보통 재미없는 ‘반드시 출시할’ 기능 목록을 반드시 밝혀서 이 기능을 완료했을 때, 개발자에게 재미있는 일을 할 수 있게 했다. 이렇게 동기 부여. 합의가 어렵고 사적인 감정이 개입돼서 만장일치가 무리인 모임에선 반대자가 없으면 통과하는 ‘퀘이커’식 합의를 사용. 회의. “왜 모였죠?” “목적이 뭐죠?” “저 사람들은 왜 참석했죠?” “왜 이제서야 말하죠?” “다음..
http://social.msdn.microsoft.com/Forums/en-US/Vsexpressvc/thread/8e2b44f4-3884-445c-9da9-e6abb2783b4c 에서 긁어와 수정함. 다음 에러가 나면... error LNK2019: unresolved external symbol "char * __stdcall _com_util::ConvertBSTRToString(wchar_t *)" (?ConvertBSTRToString@_com_util@@YGPADPA_W@Z) referenced in function "public: char const * __thiscall _bstr_t::Data_t::GetString(void)const " (?GetString@Data_t@_bstr_t..
홀 펀칭 (Hole Punching) - 정확한 명칭은 STUN (Simple Traversal of User Datagram Protocol Through Network Address Translators) 공유기라는 녀석이 라우터의 특성도 함께 가지고 있어 Routing Table 을 작성하기 위해 P2P 통신을 목적으로, 사전에 상대방과 패킷을 주고받고 하여 각자의 공유기에 Routing Table 을 작성하는 것을 [홀 펀칭]이라고 한다. Full Cone NAT 내부에 있는 호스트들의 모든 요청은, 모두 같은 외부 ip, port 로 맵핑된다. 더군다나 어떤 외부 호스트든 공인 IP가 맵핑된 패킷 보내기에 의해 내부 호스트로 패킷을 보낸다. Restricted Cone 목적지의 주소에 따라 NA..